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관, 브리핑 중에 울먹였다. 그 이유는?

반응형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가 21일 첫 시험비행을 무사히 마친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담당관이 브리핑에서 한 말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누리호는 21일 오후 5시께 전남 고흥시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습니다. 권현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연구정책관은 브리핑에서 불완전한 성공과 불행한 실패에 대한 질문이 제기됐다며, 그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발사는 비행 시험이다. 첫 번째 비행 시험이고, 5월에 두 번째 비행 시험이 준비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개발해 가는 과정에 있는 상황이고, 개발에 있는 과정을 성공, 실패라고 규정 짓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지금 항우연(항공우주연구원)의 많은 분들이 (개발이) 거의 끝까지 왔고, 마지막 계단 하나가 남아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내년 5월에 꼭 성공시킬 수 있도록 격려를 부탁드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 말을 하고는 감정에 압도당한 듯 울먹였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륙 후 정상적으로 분리 과정을 진행해 목표 고도인 700km에 도달했습니다. 그러나 3단 엔진의 조기 종료로 목표 속도에 미달해 지구 주변의 낮은 궤도에 안착시키는 데는 실패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누리호 발사를 참관한 문재인 대통령은 "아쉽게도 목표에 완벽하게 이르진 못했지만 첫 번째 발사로 매우 훌륭한 성과를 이뤘다"며 "오랜 시간 불굴의 도전정신과 인내로 연구개발에 매진해온 항공우주연구원과 학계, 국내 업체의 연구자 노동자 기업인들께 진심으로 존경과 격려의 인사를 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오늘 부족했던 부분을 점검해 보완하면 내년 5월에 있을 두 번째 발사에서는 반드시 완벽한 성공을 거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초 누리호 발사, 문재인 대통령이 남긴 말에 누리꾼들 엇갈리고 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완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1일 누리발사와 관련해 "아쉽게도 목표가 완전히 달성되지는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발사가 이

tpdhj2.tistory.com

 

반응형
교차형 무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