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민·관·군 등으로 분산된 사이버보안 지휘체계의 통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출범할 윤석열 정부가 이 역할을 맡을 기관을 설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인수위는 '국가 사이버안보 대응역량 강화'를 국정원·국방부·과기부·외교부의 과제로 언급했다.
인수위는 경제안보·국민생활까지 확장 추세인 국가 배후조직 및 국제 해킹조직의 위협에 대응하는 사이버안보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인수위는 "국가상이버안보위를 설치 및 컨트롤타워 운영체계·기관별 역할 등을 규정한 법령 제정을 추진하겠다"라고 "각급 기관산 협력도 활성화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핵심기술 보유기업·방산업체‧국가기반시설 대상 해킹 보호에 앞장서 경제 안보에 기여하겠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아재들이 해운대 고층 아파트에 쏘아 올린 '우크라이나 국기' (0) | 2022.05.05 |
---|---|
국제 결혼한 우크라 남성·러시아 여성 커플이 올린 감동적인 사진 (0) | 2022.05.05 |
'여가부 폐지' 공약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최종안에서 빠졌다 (0) | 2022.05.05 |
전장연 대표, 이번엔 시간과 장소 바꿨다. (0) | 2022.05.05 |
송영길 민주당 재집권하면 대통령 집무실 다시 청와대로 갈 것 (0) | 2022.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