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축의금 5000원 내고 남친까지 데려와 밥 먹고 간 무개념 직장동료를 고발합니다”

반응형

결혼식 축의금에는 정당한 제한이 없습니다. 받은 만큼 주는 게 깔끔하지만, 받기 전에 돈을 내야 하는 상황에 처하면 고민이 될 수 있습니다. 축의금을 보면 상대방이 얼마나 생각하는지 대략 알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주로 올라온 '결혼식 축의금 5000원 받았어요'라는 글이 화제가 됐다. 

저자 A(여)씨는 유치원 교사입니다. 결혼 준비를 위해 휴학한 뒤 인천의 한 유치원에서 조교로 일하고 있습니다.

 

 

A씨는 이곳에서 알게 된 부담임 선생님 B(여)씨가 있었는데 결혼 소식을 전하니 흔쾌히 참석하겠다고 했다. 
실제로 A씨는 몇 달 전부터 이 유치원에 다니지 않았고, 코로나 상황에서 결혼을 알리는 데도 조심스러웠다. 그러나 B씨는 진심으로 결혼식을 축하하고 결혼 초대사진도 예쁘다고 말해 큰 감사를 표했습니다.

 


A씨는 하객의 축하를 받으며 결혼식을 마친 뒤 신혼여행 대신 휴가를 떠났습니다. 그녀는 축의금을 정산하고선 깜짝 놀랐다.. B씨가 선물함에 넣은 봉투에는 5천 원짜리 한 장만 들어 있었습니다. 게다가 B씨는 남자친구를 예식장으로 데려와 식사까지 했습니다. A씨는 5만원권과 헷갈려서 그런 거라고 생각했다. 고민 끝에 A씨는 B씨에게 전화를 넣어 "선생님 5000원은 실수죠?"라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B씨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말하고 계좌번호를 물었습니다. 이에 A씨는 카카오톡으로 계좌번호를 보내기도 했습니다.

B씨는 그러나 A씨가 보낸 카카오톡을 나흘 동안 읽지 않았습니다. 이후 A씨는 두세 차례 전화를 걸었지만 B씨는 대답하지 않았습니다. 빡친 A씨는 '돈, 사과 필요없다. 인과응보를 보여주겠다'는 내용의 문자를 날렸습니다. 며칠 후 B씨로부터 이렇게 문자 답장이 왔다. A씨는 "끝까지 사과 없이 당당한 데 대해 박수를 드린다"는 비꼬는 말로 호소글을 맺었습니다. 이야기를 접한 네티즌들은 모두 B씨에 대해 비난을 받았습니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