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코인 하다 잃은 돈 보상해 줄 거면, '투자 이익'은 사회환원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반응형

정부가 125조 원을 들여 소상공인·청년 등 취약층의 빚 상환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다는 것을 비꼰 글이 화제를 모은다. 앞서 정부는 대출을 갚기 어려운 만 34세 이하 청년들의 이자 30~50%를 깎아주고 연체 이자는 탕감해 줄 계획을 세웠다.

빚투 투자 이후 손실을 본 저신용 청년층 구제안을 발표한 후 반발이 지속되고 있다. 성실하게 일하며 빚을 갚은 이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한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이외에도 다른 이유들로도 비판이 거세지며 이익을 본 금액도 환수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등장한 것이다.

그런 가운데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금융부문 민생안정 프로그램'에 대해 "시작에 불과하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대책을 발굴하고 준비하겠다"라고 밝혔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