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한국 국가부채 OECD 비기축통화국 17개국 중 가장 높아

반응형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2020~2026년 비기축통화국의 재정건전성 전망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GDP(국내총생산) 대비 국가부채 비율의 증가폭은 18.8%포인트(p)로, OECD 비기축통화국 17개국 중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비기축통화국은 국제 거래의 기본이 되는 기축통화인 달러·유로·엔·파운드·위안화를 법정 통화로 사용하지 않는 국가다. 한경연은 기축통화는 안전자산으로 국채 수요가 높고 이로 인해 기축통화국의 국가부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재정 건전성을 평가할 때는 비기축통화국과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2020~2026년 한국의 국가부채 비율은 급등하는 반면 캐나다, 아이슬란드, 헝가리 등 다른 비기축통화국의 국가부채 비율은 평균 1.0%p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의 국가부채 비율은 2020년 47.9%에서 2026년 66.7%로 오를 전망이다. 국가부채 비율 순위도 비기축통화국 17개국 중 2020년 9위에서 2026년 3위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증가한 재정 지출 수준이 2026년까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터키를 제외한 다른 비기축통화국들은 같은 기간 재정건전성 관리를 위해 정부 지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0~2021년 GDP 대비 통합재정수지 적자 규모를 100으로 가정했을 때 2022~2026년 통합재정수지는 한국이 88.0인 반면 다른 비기축통화국들은 평균 33.6으로 추정됐다. 한국의 재정 적자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이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