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날이 갈수록 오르는 배달비에 배달앱을 켰다가도 주문을 하는 게 망설여지는 경우가 많다. 배달 수요가 증가하며 1만원에 육박하는 배달비를 내야 하는 상황에 다회용기 옵션 선택 시 회수 비용까지 내야 한다는 소식에 소비자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 14일 서울시는 요기요와 진행하던 다회용기 사업을 더 많은 배달 플랫폼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다회용기 사용 가능 음식점에서 주문할 경우 용기 선택을 할 수 있고 다회용기는 배달원이 용기를 수거해 간다. 현재는 요기요에서 수거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그러나 추후에는 소비자가 결국 그 비용을 부담하게 될 거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처음에는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 많은 소비자들은 관심을 보였으나 실질적인 발생되는 회수 비용으로 인해 긍정적인 시선들을 보기 어렵다. 일각에서는 회수비용을 일부 부담해서라도 환경을 보호하는 것에 의미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의심된다며 영하 날씨 속 두 살 아이 베란다에 격리시킨 어린이집 (0) | 2022.02.16 |
---|---|
곽윤기 올림픽 '짬밥' 실감케 하는 12년 전 '초딩' 이준서와 찍은 투샷 (0) | 2022.02.16 |
코로나 확진 받은 이민정, '생일' 전날 선물처럼 '자가격리 해제' (0) | 2022.02.16 |
삼성, 베트남 스마트폰 생산 공장 'OO' 이전 결정 (0) | 2022.02.16 |
정부 오는 18일 거리 두기 조정 방안 발표 (0) | 202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