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민 5명 중 4명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낸 '부동산 이슈 관련 보도에 대한 수용자 인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분석대상 응답자 1천5명 중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만족한다'는 제시문에 동의하는 비율은 20.1%에 그쳤다.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찬성한다'는 말에도 동의율이 20.7%에 불과했다. 다만 '현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항목에는 40.8%가 동의해 정부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은 어느 정도 인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을 불안정하게 만든 요인'으로 '정부'라는 답이 74.1%로 가장 높았다. 정치권(67.1%), 투기권(투자자)(60.0%), 언론(45.5%)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들은 조사 시점인 2021년 11월 12일∼18일을 기준으로 지난 3개월 사이 부동산 이슈와 관련된 뉴스를 본 사람들이었다.
응답자의 84.0%는 '부동산 보도가 주택가격 상승에 영향을 준다'는 데 동의했다. 반면 '주택가격 하락에 영향을 준다'고 보는 경우는 36.4%에 불과했다. 설문에 제시된 10가지 부동산 보도 유형 중 가장 문제로 지적된 행태는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위주의 보도'가 65.4%로 가장 높았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